공법의 개요

· 강재 플레이트 슬릿이 삽입되어 감쇠능력이 우수한 제진형 장치를 이용한 신축 및 기존 구조물의 보강기술

 

특징 및 장점

· 소요내력에 따라 디스크 개수의 조절 및 제진장치 용량조절이 용이함

· RC 부재의 손상을 최소화

· 기존 시설의 철거를 최소화하며 내부에 부착할 수 있는 공법

 

공법장치의 원리 및 역학

공법장치의 원리 및 역학.jpg

 

- 가새가 인장을 받는 경우는 중앙의 스프링은 압축을 받게되고 양측의 스프링은 인장을 받게되며, 반대로 가새가 압축을 받는 경우는 중앙의 스프링은 인장을 받게되고 양측의 스프링은 압축을 받도록 설계됨.
- 링크부분을 나사 형식으로 설계하여 길이조절 가능.[길이조절장치로 시공오차 발생 최소화]
- 프레임과 가새장치를 핀접합으로 설계하여 제진형 가새장치 거동성 증대.
- 지진등 이력거동 이후 핀접합 해체 장치 교체만으로 유지관리 용이

 

형태별 규격 및 용량

step torsional moment(kN.m) stress(MPa)
tube disk
0 0 0 0
0.1 0.035kN.m 39 18
0.2 0.070kN.m 78 36
0.3 0.105kN.m 116 55
0.4 0.140kN.m 155 72
0.5 0.175kN.m 194 91
0.6 0.210kN.m 233 108
0.7 0.175kN.m 269 126
0.8 0.280kN.m 275 144
0.9 0.315kN.m 275 162
1.0 0.350kN.m 275 181
  1.52kN.m - 275

 

torsional moment(kN.m) stress(MPa) displacement(mm)
tube disk tube disk
0.15 162 74 0.72 0.57
0.25 271 124 1.34 0.86
0.35 379 173 1.68 1.34

 

 

작동 시물레이션 및 변위곡선

지진하중-변위곡선

결과1.jpg[지진응답 하중-변위곡선의 상호 비교 ]

지진응답 시간-변위곡선

결과2.jpg[지진응답 시간-변위곡선의 상호 비교 ]

에너지소산능력

실험1.jpg [ 무보강 및 보강 실험체의 에너지 소산량 비교 ]

댐핑계수

실험2.jpg [ 댐핑계수 ]

 

 

내/외부 단위전개도[설치후 구상도]

<내부 설치 후 마감구상도>

내부1.png

 

내부2.png

 

<외부 설치 후 마감구상도>

외부1.png

 

외부2.png